2025. 3. 21. 09:59ㆍ잡담(기록용)
전기의 발생은 전자의 이동으로 발생
키르히호프의 제 1법칙(전류 법칙)

이 법칙은 키르히호프의 지점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분기점 법칙(또는 노달법), 그리고 키르히호프의 첫 번째 법칙이다.
전류 법칙은 아래와 같다:
전류가 흐르는 즉 전기가 통과하는 분기점(선의 연결지점, 만나는 지점)에서, 전류의 합 즉 들어온 전류의 양과 나간 전류의 양의 합은 같다. 즉 0이다. 또는도선망(회로)안에서 전류의 대수적 합은 0이다.(단, 들어온 전류의 양을 양수로, 나간 전류의 양을 음수로 가정한다 또한 도선상의 전류의 손실은 없다고 가정한다).
키르히호프의 제 2법칙(전압법칙)(옴의 법칙도 2법칙안에 포함)
옴의 법칙
i=R분의 V [A] V=IR R= I분의 V(옴)

실제 적용 사례
1. 전력망 시스템 설계
2. 전자 회로 설계
3. 자동차 전기 시스템
저항 단위 표[외우기]

출처-블로그에서 같이 놀깡 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ltkdtn00&logNo=220177138532
삼상[380V]와 단상[220V]


사용이유
380V(3상)전기 사용하는 이유

380V 3상 교류는 220V 단상교류에 비하여 전기를 송전하는데 경제적이며, 380V와 220V를 동시에 사용도 가능합니다. 또한 전력효율이 높아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이 됩니다.
장점
(1) 전력효율이 단상교류전기에 비해 좋습니다.
(2)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3) 단상에 비해 송배전이 경제적입니다.
(4) 허용전류가 단상에 비해 차단기 용량이 줄일 수 있습니다.
(5) 가장 큰 장점은 3상 4선식의 경우 220V와 380V를 동시에 사용 가능합니다.
용량큼+저비용+범용 걍 산업용
출처-전기청년님
https://m.blog.naver.com/iclassici/222987220785
전기 상식 - 전압 3상(380V) 와 단상(220V)의 차이
전기 상식 - 전압 3상(380V) 와 단상(220V)의 차이 안녕하세요. 전기 청년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
blog.naver.com
가정용이 380V가 허용되기 힘든 이유(면접 답변용 까먹지 않기)
1.380V은 닿으면 즉사라 안전문제
2.110->220V바꾸는데도 천문학적 비용들었음 (기간도 한10년?) 바꿀 돈 시간 없음
저항의 직병렬구조
직렬는 걍 일정함 일정함 일정함 일정함

병렬저항 공식 (이론보면 복잡하니 걍 문제풀이 요약본으로 대충 이해 ㄱ)

제2. 다음 회로의 각각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과 흐르는 전류를 구하시오.

▣ 합성저항을 구해 보자.


▣ 병렬연결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구해 보자.

[종합정리]
▣ 저항 직렬연결 (전류일정) ⇒ 전압배분 ⇒ 저항크기 비례
▣ 저항 병렬연결 (전압일정) ⇒ 전류배분 ⇒ 저항크기 반비례
출처-
https://m.blog.naver.com/ok1659/222581208785
저항의 직·병렬 접속(직·병렬연결) - 회로이론 제4강
【저항의 접속 (직·병렬접속) 】 1. 저항의 직렬 접속 가. 저항의 직렬 접속(연결) 개념 ▣ 저항을 직렬로 ...
blog.naver.com
시퀀스 제어의 종류
시간,조건,순서 제어 3가지로 분류
순서제어 정해진 순서대로 제어가 이뤄지는 방식 전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센서 등을 이용해 진행 EX)컨베이어,자동조립기같은 현장?
시간제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방식 (세탁기,건조기 등 시간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적용됨)
조건제어 특정조건이나 특정입력을 구분하여 제어를 수행함 (엘리베이터,현장 인터락)
예제)8접점 8핀 타이머 릴리에 시퀀스 회로도
접점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사진출처 : https://tv.naver.com/v/12885526?t=60
그렇다면 동작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
우선 기본적인 타이머는 TON 의 기능이다.
설정해놓은 시간동안 타이머에 전류가 흐르게되면 접점이 붙는 형태로 동작한다.
예를들어 우리는 5초동안 입력이 지속되면 램프 하나를 ON시킨다고 해보자.
앞서배운 푸시버튼 하나를 5초간 눌리고 있으면 5초가 되는 시점에 타이머 접점이 붙어 램프로 전류가 흐르게되어 점등될것이다.
*여기서 중요한건 누적5초가 아니다. 1초 눌렀다 떼고 다시 4초를 눌러 총합5초의 개념이 아니라 최초입력부터 5초를 유지해야 동작한다.
(누적으로 타이머를 동작시키는건 plc프로그램 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성할수 있으나 시퀀스적으로 8핀타이머 한개 가지고는 불가능하다, 프로그램 구성에관해서는 추후 포스팅하겠다)
응용해서 타이머 2개를 활용한 시퀀스 회로도를 한번 살펴보자.

먼저 ON(a접점),OFF(b접점) 푸시버튼 2개, X1(릴레이) 한개,
T1,T2(타이머) 2개, 램프 1개 로 구성되어있다.
동작 순서를 살펴보면
1. ON 푸시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램프가 ON되며 X1(릴레이) 접점이 붙으며 자기유지상태가 된다.
2. 자기유지상태가 지속되면서 T1(타이머)가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먼저 램프앞에 결선되있는 T1(b접점)이 떨어지면서 램프가 OFF 상태가 되고 동시에 T2(타이머)가 T1(a접점)이 붙으며 동작하게된다.
3. T2(타이머)가 설정한 시간에 도달하게되면 다시 T1(타이머)앞에 결선되있는 T2(b접점)을 떨어뜨리면서 초기화가 된다.
4. 스위치를 OFF 하기전까지는 계속 램프가 T1,T2에 의해 점멸하게된다.
위의 회로도는 타이머 2개로 플리커 효과를 만들어 램프를 점멸 시키는 시퀀스가 되겠다.
(플리커는 다음에 추가설명)
출처 - 윤꾸스토리
[전기자동제어시스템 기초] 시퀀스 회로 원리 이해 독학 Step.3 타이머 릴레이
오늘은 타이머 릴레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타이머(Timer) 벌써 글만 봐도 어떤 역할을 하는 릴레인지 대충 감이 오지 않나 ? 타이머 릴레이는 말그대로 시간과 관련하여 동작하는 릴레이라고 생각
various-knowledge.tistory.com
1-1. A점점의 뜻
A접점은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이고 일을 하고 있는 상태는 아니다. A접점은 기본상태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 영어로는 Normal Open 이라고 한다. 간단히 NO 라고 쓴다.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가동상태) 에서, Normal 은 기본적으로, Open 은 열려 있다라고 이해를 하자.
▷ A접점 : 기본상태가 열려 있는 상태 (전기 안통함)
▷ A contact : Normal Open (NO)
1-2. 기호(심볼)
아래와 같이 기호로 표시한다. 전기가 흐를 때 기본 상태((Normal) 는 떨어져 있어서 전선을 타고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 전선과 전선 사이가 떨어져(Open) 있음을 주목하자.
A접점을 통해서 전기가 흐르려면 눌러 주면 된다. 위에서 누른다고 생각을 하면 2가닥의 전선이 연결될 것이다. 누름은 어떤 작업을 했다는 뜻으로 기본상태에서 벗어난 것이다.

2. B접점
B 는 영어로 깨다, 휴식라는 뜻인 Break(브레이크) 라고 한다. 또는 멈추다라는 뜻인 Brake(브레이크) 라고도 할 수 있다.
브레이크 타임(Break time) 을 연상하자. 식당에서 점심시간 이후 저녁시간을 준비하기 위해서 영업을 멈추고 음식을 준비하는 시간을 브레이크 타임이라고 한다.
B접점은 자동차의 풋 브레이크(foot brake) 의 패달을 발로 밟고 있는 상태라고도 이해를 해보자.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의 디스크를 강하게 눌러 자동차 바퀴가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패드와 디스크가 붙어 있는(Close) 상태를 연상하자.
1-1. B점점의 뜻
B접점은 기본상태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 영어로는 Normal Close 라고 한다. 간단히 NC 라고 쓴다.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가동상태) 에서, Normal 은 기본적으로, Close 는 붙어 있다라고 이해를 하자.
▷ B접점 : 기본상태가 닫혀 있는 접점 (전기가 통함)
▷ B contact : Normal Close (NC)
2-2. 기호(심볼)
아래와 같이 기호로 표시한다. 전기가 흐를 때 기본적인 상태(Normal) 는 붙어 있는 상태로 사람이 조작하지 않는 한 전선을 타고 전기가 흐른다. 전선과 전선 사이가 붙어(Close) 있음을 주목하자.
B접점을 통해서 흐르는 전기를 멈추려면(Break) 눌러 주면 된다. 위에서 누른다고 생각을 하면 2가닥의 전선 사이가 떨어질 것이다.

세로로 세워도 모양은 비슷하다.

아래와 같이 직선으로만 표현하기도 한다.

3. C접점
C 는 영어로 전환이라는 뜻인 Changeover(체인지오버) 라고도 한다. C접점은 쉽게 말해서 선택이 가능한 접점으로 A접점과 B접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2개의 전선 중 어느 한쪽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선택(Choice)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가동상태) 에서, 기본적으로 B접점 쪽으로 전기가 흐른다. 어떤 작업을 하면 B접점은 떨어지고 A접점은 붙어 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달라진다.
3-1. 기호(심볼)
공통선이 1가닥이 있다. 영어로는 Common(커먼) 이라고 하며 간단히 com(컴), COM 등으로 표현을 한다. C접점에는 Com 이 있다고 기억하자. 컴은 A접점과 B접점을 마주하고 있는 선을 통칭한다.

결선작업을 하는데 '컴부터 해라', '공통선 결선해라' 라는 말을 듣는다면 위 기호 그림에서 공통(Common)선 쪽 결선을 먼저하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A접점과 B점점 쪽이 아닌 부분부터 하라는 뜻인데, 이 부분은 도면에서 보면 아래와 같이 노란색 형광펜으로 표시한 곳이 된다. 모두 A 와 B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선들이다.
'잡담(기록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9월 21일 (1) | 2024.12.31 |
---|---|
2024년 8월 21일 (1) | 2024.12.31 |
12월 31일 저장용 (환율) (0) | 2024.12.31 |